청년희망저축은 사회초년생 또는 저소득 청년의 저축 장려 및 장기적, 안정적 자산관리형태 형성을 통해 취약한 경제기반을 보완하고 청년의 자립 역량 제고하기 위해 만 19세 ~ 34세 청년들이 일정요건에 해당하면 일정금액을 저축한 후 적금 만기 시 은행 이자에 더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저축장려금을 추가 지원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저축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저축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조건이 되면 꼭 가입을 해서 혜택을 받아야 하는 저축상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청년희망저축에 대하여 한번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저축은 단어에서 보듯이 만 19 ~ 34세까지의 청년 중에서 총급여 3,600만원(종합소득세 2.600만원) 이하인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저축상품입니다. 만약 병역복무기간까지 인정을 받을 경우 최대 6년을 추가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저축은 월 최대 50만원가지 2년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으로 은행이자 + 비과세혜택 + 저축장려금을 지급합니다.(납입금액에 대해 1년 차 2%, 2년 차 4%) 금리는 최대 9.3%로 조금씩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저축은 50만원 안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일반적금과의 차이점은 납입액에 따라 저축 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으로 시중 이자에 4% 정도의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청년들이 목돈마련을 위해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희망저축의 좋은점은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인데, 보통 적금의 경우 이자의 소득세 14% + 지방세 1.4%를 합한 15.4%가 세금으로 발생하게 되지만, 청년희망저축은 비과세혜택을 받아 세금감면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청년희망저축은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경남 시중 많은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차후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이기 때문에 가입도 쉽습니다. 연 5%의 기본금리 외에 은행별로 비대면 가입이나 자사 IRP 가입, 주택청약 신규 가입등을 통하여 우대금리 조건이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조건을 찾아 가입하면 좋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청년희망저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인턴, 아르바이트, 사회초년생등 청년들의 생활을 조금이라도 안정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정책 중 하나입니다. 조건이 된다면 가입하여 혜택을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랜서 햇살론 15 신청방법 및 신청서류는? (6) | 2023.03.13 |
---|---|
연소득 6천만원 이하의 무주택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디딤돌대출" 신청방법 및 대출요건 (6) | 2023.03.11 |
핸드폰 있는 만19세이상이라면 누구나 신청가능한 핸드폰 소액 대출 ( 농협 올원 비상금 대출 신청방법) (4) | 2023.03.06 |
햇살론 15 거절 대상자를 위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제도 (8) | 2023.03.04 |
최저 신용자가 최소한의 기준만 있으면 신청할수 있는 햇살론 15 대출 대상은? (8) | 2023.03.02 |